부동산 뉴스 입니다. 본 정보에 대해서 (주)부동산게이트는 기재된 내용에 대한 오류와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. 또한 본 정보는 (주)부동산게이트의 동의없이 재 배포할 수 없습니다. 관련없는 내용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.
조회 : 8007
토지 경매시장 돈 몰려 낙찰가율 첫100% 돌파
정부의 8·31부동산시장 종합대책 발표 이후 시중 부동자금이 경매시장으로 몰리고 있다. 이로 인해 대책 이후 15일 동안 전국의 토지경매 시장에서 감정가를 훨씬 웃도는 가격에 낙찰되는 사례가 속출하면서 토지경매 낙찰가율이 평균 100%를 넘어섰다.
일부 토지는 감정가격보다 6배나 넘는 가격에 낙찰되는 경우도 나타났다.
19일 경매정보제공업체 디지털태인에 따르면 8·31대책 발표 이후 15일(9월1∼15일)동안 경매시장에 나온 전국 토지의 낙찰가율(감정가격에 대한 낙찰가격의 비율)은 104.81%로 나타났다. 토지경매시장에서 일정기간 전국 평균 낙찰가율이 100%를 넘어선 것은 경매에 대한 체계적인 통계가 시작된 2000년 이후 처음이다.
낙찰가율이 100%를 돌파했다는 것은 감정가보다 비싼 가격에 낙찰됐다는 의미다.
특히 이 기간 서울지역의 토지경매 낙찰가율은 126.54%,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111.68% 등으로 역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.
디지털태인 이영진 부장은 “경매를 이용하면 토지거래허가구역과 상관없이 토지를 매수할 수 있고 팔때도 오는 10월13일 도입되는 전매제한 기간 연장 조치의 규제에서 벗어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것”이라고 분석했다.
토지의 경우 지목별로는 나대지보다 종합부동산세 대상이 아닌 임야나 논·밭에 사람들이 많이 몰렸다.
실제 경매정보제공업체인 지지옥션이 지난 1∼14일 진행된 전국 토지 경매의 낙찰가율을 분석한 결과 논·밭은 117.7%, 임야는 109.5%인데 비해 대지는 84.4%로 상대적으로 인기가 덜했다.
지난 5일 경매된 강원 횡성군 횡성읍 옥동리의 임야(5396평)에는 무려 80명이 몰려 감정가(4460만원)의 6배가 넘는 2억7215만원에 낙찰됐다. 경기 양평군청운면의 밭(871평)도 지난 12일 감정가(1007만원)의 674%인 6789만원에 낙찰되는 등 고가 낙찰사례가 속출하고 있다.
하지만 이 기간 주택의 경매 낙찰가율은 82.2%에 불과해 인기가 시들했다.
지지옥션 강은 팀장은 “토지 경매는 반사이익이 높아 인기가 높지만 부동산시장 침체로 매수자를 찾기 쉽지 않아 장기간 돈이 묶일 수 있어 여유자금으로 신중하게 투자해야 한다”고 말했다.